과제물11 What It Means To Be Human: the creature and the apes 이 글은 인간이란 무엇인가에 대한 본질적 탐구를 목표로 하며, 소설 과 영화 시리즈 이 각각 이 주제를 어떻게 효과적으로 전달하는지 살핀다. 먼저 두 작품에서 나타난 인간 고유의 성질들을 의 괴물, 주인공 시저를 포함한 속 유인원 등 ‘비인간’ 캐릭터들의 분석을 통해 탐구한다. 그 다음으로 각기 다른 맥락과 배경을 기반으로 한 이들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모색한다. 먼저, 프랑켄슈타인 속 괴물에 대해 살펴보자. 괴물은 말 그대로 인간으로서 가장 기본적으로 부여받는 이름조차 갖지 못한다. 이는 존재조차 부정당하는 괴물의 지위를 단적으로 보여준다. 때문에 주로 그의 창조자 빅터 프랑켄슈타인으로부터 괴물은 fiend, spectre, the daemon, wretch 등 다양한 이름으로 불리며 인간 이하의 .. 2025. 6. 4. <인스타그램에는 절망이 없다> 서평 쓰기 서평 쓰기 – 청년의 딜레마와 소비 세태, 그리고 불안 인스타그램에는 절망이 없다. 오늘날 밀레니얼 세대의 모습을 이토록 간결하면서도 정확하게 관통하는 어구가 있을까. 언제나 밝고 화려하고 희망에 찬 인스타그램 속 청년들, 우리들의 모습은 어디에나 있고, 어디에도 없다. 인스타그램 속에서 우리들은, 연인과 함께 ‘뜨는’ 거리의 핫한 카페를 찾고, 로맨틱한 루프탑에서 맥주를 마시며 종종 하루 숙박이 수십만 원에 달하는 화려한 곳으로 호캉스를 떠난다. 그러나 현실 속 청년 세대는 10년 전이나 지금이나 이들을 가리키는 용례만 달라졌을 뿐, 대개 절망과 포기로 수렴한다. 일반적으로 청년들의 삶이 얼마나 어렵고 또 그로 인해 우울, 좌절, 증오, 혐오와 같은 부정적인 감정이 얼마만큼 이들의 공기를 뒤덮었는지 논.. 2021. 2. 25. Postdramatic Transformation of William Saroyan's 'Hello Out There'-guided by Hans-Thies Lehmann Q2. You have been given another challenging but exciting directing opportunity. This time, you are asked to mount a ‘postdramatic’ adaptation of William Saroyan’s Hello Out There. You are dumbstruck and think it is impossible so you want to turn down the offer. But then the producer introduces you to the dramaturg of the production, who is none other than Hans-Thies Lehmann, the famed author of .. 2021. 2. 6. Introduction to English Linguistics_Final Assignment 1. Language and Linguistics Describe distinct features of language as a sign system, and explain each feature with concrete examples. Human language delivers the meaning through the phonetic ‘signs’ and thus, we can define it as a sign system. These three factors below are the unique features of language that distinguish it from other sign systems, animal signals, etc. 1) Discreteness Since huma.. 2020. 8. 12. Directing 'A Raisin in the Sun' via a Brechtian adaptation Q1. Imagine that you are directing Lorraine Hansberry’s A Raisin in the Sun and the producer specifically requests an either Brechtian or Artaudian adaptation of the play. Between epic theatre and Theatre of Cruelty, which style would you choose, and why? And how would you stage it? Be sure to use at least THREE specific quotes from the theory and describe in detail the THREE pivotal scenes that.. 2020. 7. 10. 인권의 보편성: 대코로나 방역 정책과 '인권의 역설' 인권은 보편적인가? 좀 더 구체적으로, 인권이라는 것을 모든 사람들이 보편적으로 소유하고 있고, 그것이 잘 보호되고 있는가? 이 질문들에 대답하기 위해 독일계 유대인 정치 철학자 한나 아렌트의 논의를 살펴볼 필요가 있다. 먼저 한나 아렌트에 따르면, 산업 사회 이전부터 인권에 대한 논의는 지속적으로 발전했고 그 개념이 확산되었다. 여기서 인권은 인간이 태어날 때부터 하늘로부터 부여받았다는 천부인권사상과 같은 자연법적인 전통에 입각했다. 인권은 한 사람이 다른 이에게 양도할 수도 없고, 그 자체가 궁극적 지위에 있기 때문에 다른 어떤 것에도 근거를 두지 않는 보편적인 개념으로 간주되었다는 것이다. 그러나 1차 세계대전 이후 각국에서 난민들과 같은 무국적자들이 대거 출현하면서, 이들의 인권은 누구도 지켜주지.. 2020. 7. 10. 이전 1 2 다음